4개의 프로펠러 각도 바뀌는 '틸팅 기술' 적용 <br />최대 시속 200km…드론형 비행체보다 5배 빨라 <br />국내 비행체 표준 모델…핵심 기술 민간 이전 <br />"공중 교통 체계 구축…2030년 10개 노선 운용"<br /><br />프로펠러 8개가 달린 소형 항공기가 서서히 떠오릅니다. <br /> <br />사람이 조종하지 않지만, 자율비행 기능으로 활주로 주변을 부드럽게 선회합니다. <br /> <br />완성품의 40% 크기로 만든 시제품입니다. <br /> <br />전체 8개 프로펠러로 이착륙한 뒤 이동할 때는 위를 향하고 있던 4개의 프로펠러가 앞으로 전환돼 빠르게 비행합니다. <br /> <br />최대 속도는 시속 200km, 드론형으로 생긴 비행체보다 최대 5배나 빠릅니다. <br /> <br />유무인 겸용 전기동력 개인 항공기가 개발되면 김포에서 잠실까지 혼잡할 때 최대 79분이 걸리던 출근 시간이 12분으로 크게 줄어듭니다. <br /> <br />항우연이 개발하고 있는 개인 항공기는 내년에 시험비행을 거친 뒤 우리나라 상공을 비행할 드론과 비행체들의 표준 모델로 활용됩니다. <br /> <br />또 핵심인 분산전기추진기술과 자동자율비행 제어기술은 민간에 이전해 산업적인 체계도 갖출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황창진 / 항우연 개인항공기사업단장 : 미리 기술개발을 통해 비행시험까지 검증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어야 나중에 상업적 운용을 위한 체계개발을 할 때 그 기술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항공기와 드론에 대한 기술개발에 맞춰 도로의 교통체계처럼 공중의 교통 체계도 새로 구축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2025년부터 도심에서 수직 이착륙 비행체로 이동하는 시스템을 완성하고 2030년부터는 10개 노선에서 실제 활용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공상과학영화에서 보던 하늘을 오가는 자동차와 택시가 10년 뒤에는 현실로 다가오게 됩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: 김진두 <br />촬영기자 : 오유철 <br />자막뉴스 : 육지혜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012410375520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